경제공부/경제용어
구매관리자지수(PMI)
주인공 용이
2021. 9. 4. 00:05
구매관리자지수(PMI):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이다.
PMI는 기준선인 50을 넘으면 경기 확대, 넘지 못하면 경기 위축을 뜻합니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신규 주문·생산·재고·출하 정도·지불 가격·고용 현황 등을 조사한 후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0~100 사이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의 확장, 50 미만일 경우에는 수축을 의미한다.
구매관리자지수는 경기 전망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PMI가 발표되는 날은 세계 각국의 주가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미국의 경우 전미구매관리자협회(NAPM)에서 매달 PMI를 발표하고 있는데, 1997년 이후 NAPM이 공급관리자협회(ISM)으로 변경되면서 ISM 제조업지수라고도 하나 PMI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PMI를 산출하지 않고 대신 이와 유사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발표하고 있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구매관리자지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